이재명 대통령이 제안한 신용등급별 금리 정책은 금융 정의 실현이라는 긍정적 의도와 시장 왜곡이라는 위험을 동시에 가집니다. '서민 지원'과 '도덕적 해이' 사이의 딜레마를 긍정론과 부정론 양 측면에서 심층 분석합니다.
금융 정의를 둘러싼 뜨거운 감자, '역진적 금리 정책' 논란
"열심히 일해서 돈 잘 갚는 사람들만 바보 만드는 꼴 아닌가?"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제안한 신용등급별 금리 정책 논의는 대한민국 금융 시장의 근간을 뒤흔드는 뜨거운 감자가 되었습니다. 이 논의는 서민 금융 지원책의 일환으로 "고신용자의 초저금리 대출에 0.1%p 등의 추가 부담을 지워 저신용자에게 더 싸게 빌려주자"는 아이디어가 제시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정책의 의도는 금융 불평등 해소와 서민 지원이라는 긍정적인 명분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정책은 성실한 신용 관리의 가치를 훼손하고, '기축통화 발언'이나 '호텔경영론'에 이은 시장 원리 무시 논란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비판을 동시에 받고 있습니다. 이 역진적 발상이 과연 '정의로운 금융'의 실현일지, 아니면 시장 왜곡을 초래하는 '양날의 검'이 될지, 긍정론과 부정론을 균형 있게 분석해야 할 때입니다.
2. 정책의 긍정론: '금융 정의' 실현과 서민 경제의 숨통
이 정책이 '양날의 검'의 긍정적인 면을 대표하는 이유는, 현재 금융 시스템이 가진 구조적 불평등을 해소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2-1. 금융 포용성(Financial Inclusion) 확대
저신용자는 단순히 돈을 갚을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경기 침체나 일시적 신용 위기 등으로 인해 제도권 금융에서 '낙인'찍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높은 금리는 이들의 재기를 원천적으로 막는 장벽이 됩니다.
실질적 금융 접근성 제고: 금리 부담이 줄어들면 저신용자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는 것을 방지하고, 합법적인 자금 조달 통로를 확보하여 경제 활동의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소득 불평등 완화: 금융 비용 자체가 가계 부채의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저신용자의 이자 부담을 덜어주는 것은 실질적인 소득 증대 효과를 가져와 경제적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2-2. 사회적 연대와 상생 금융 실현
이 정책은 고신용자에게 부여하는 추가 부담을 '페널티'가 아닌 '사회적 책임'과 '금융 연대 기여금'으로 해석합니다.
상생 문화 확산: 은행이 초저금리 대출을 통해 얻는 '초과 이익'의 일부를 사회적 약자에게 돌려주는 구조를 만들어, 금융기관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사회 전체의 위험을 분담하는 상생 금융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안정성 기여: 저신용자의 금융 안정이 곧 사회 전체의 소비 안정과 연결됩니다. 저신용자에게 재기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대규모 신용 위기를 예방하고 경제 시스템의 건전성을 높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정책의 부정론: '시장 왜곡'과 도덕적 해이의 그림자
하지만 이 정책이 시장의 근본 원칙을 훼손함으로써 초래할 수 있는 '양날의 검'의 부정적인 면은 심각한 부작용을 예고하며, 이는 기존에 분석했던 반대 입장을 더욱 구체화합니다.
3-1. 금융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극대화
금융 시스템의 가장 치명적인 위험은 도덕적 해이의 확산입니다.
성실 상환 의지 약화: 고신용자에게 페널티를 부과하고 저신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면, 신용을 지키기 위한 개인의 노력에 대한 보상 체계가 붕괴됩니다. 즉, "돈 잘 갚는 사람들만 바보 만드는 꼴"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고의적 신용 하락 유인: 장기적으로 신용 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고금리를 회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신용 등급을 낮추려는 유인이 생겨, 시스템 전체의 건전성을 해칩니다.
3-2. 금융기관의 대출 위축 및 서민 금융 축소
정부의 개입으로 리스크 프리미엄(위험 대비 이익)이 왜곡되면, 금융기관은 자연스럽게 리스크를 회피하게 됩니다.
고신용자 대출 이탈: 금리가 시장 경쟁률보다 높아진 고신용자들은 제도권 금융 밖의 더 싼 금리를 찾아 '금리 쇼핑'을 하거나 해외로 자금을 유출할 수 있습니다.
저신용자 대출 총량 위축: 은행은 고신용자 우량 고객을 잃어 수익이 악화되고, 리스크가 높은 저신용자 대출을 꺼리게 됩니다. 결국 저신용자를 위한 대출 심사 기준이 강화되거나 대출 자체의 총량이 줄어드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3. '보이지 않는 손'의 역할 파괴 및 경제 비효율 초래
금리는 자본 시장에서 돈의 가치를 결정하는 핵심 가격 변수입니다. 정부가 이를 강제로 조작하면 자원 배분의 왜곡이 발생합니다.
비효율적 자본 배분: 자금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고신용자(저위험) 대신, 상환 불확실성이 큰 저신용자(고위험)에게 강제 배분됩니다. 이는 국가 경제 전체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습니다.
4. 정치적 수사'를 넘어선 신중함과 보완책이 필수
이 정책은 '서민 지원'이라는 긍정적 가치를 내세우지만, '시장 원리'와 '신용 사회의 근간'을 흔드는 치명적인 단점을 내포한 매우 위험한 양날의 검입니다.
정치적 수사를 넘어선 정책 성공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신중한 보완책이 필수적입니다.
재원 마련의 투명성: 고신용자에게 페널티를 부과하기보다는, 은행의 초과 이익을 환수하거나 별도의 공공 기금을 조성하여 저신용자 지원 재원을 마련해야 합니다.
신용 회복 지원 강화: 단순한 금리 할인이 아니라, 저신용자가 재기할 수 있는 교육, 컨설팅, 그리고 신용 회복 프로그램 강화하는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금융 정책은 단순한 도덕적 선의를 넘어, 시장 경제의 원리와 장기적인 안정성을 기반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정책의 의도와는 정반대로, 경제 전체의 파국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