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ced Draft Fan의 P&ID 기본 구성을 단계별로 알아보세요. CDU 공정에서 팬의 역할과 제어 로직까지,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1단계: Forced Draft Fan 배치
Forced Draft Fan은 Crude Distillation Unit(CDU, 상압증류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입니다. CDU는 정유 공정의 핵심으로, 비등점 차이를 활용해 물리적 상분리 후 후속 공정으로 이송하는 과정입니다. Forced Draft Fan은 연료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Furnace로 강제 공급하며,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오늘은 CDU의 Air Preheater 구간에서 Forced Draft Fan의 P&ID 구성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P&ID의 첫 단계는 Forced Draft Fan을 배치하는 것입니다. 그림 1-2와 같이 Forced Draft Fan 001-A/B를 시스템에 위치시킵니다.
- Fan 001-A: Air Preheater에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를 지원
- Fan 001-B: Crude Charge Heater의 연소 공기를 공급. 팬의 위치와 역할을 이해하면 시스템 흐름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단계: 메인 프로세스 라인 추가
다음으로, 그림 1-3과 같이 Forced Draft Fan 001-A/B의 메인 프로세스 라인을 추가합니다.
- Fan 001-A: Air Preheater로 연결
- Fan 001-B: Crude Charge Heater로 연결. 프로세스 라인은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나타내며, P&ID에서 흐름 방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3단계: 모터 Start/Stop 인터락 설정
그림 1-4에서는 모터 Start/Stop의 인터락(Interlock)을 설정합니다.
- HS (Hand Switch): 제어 패널에서 팬의 수동 조작(시작, 정지, 자동)을 담당
- 인터락: 조건에 따라 기계를 작동시키는 로직. 예를 들어, 시스템 압력이 높고 모터 과부하가 정상일 때 모터가 동작하도록 설정. 인터락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해 필수적이며, 이를 이해하려면 로직 다이어그램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4단계: 온도 제어 및 FIC 연결
그림 1-5에서는 TT-201(Temperature Transmitter)을 통해 온도를 제어합니다.
- TT-201: 필드에 설치된 온도 계측기
- FIC-100: Flow Indicating Controller로, TT-201의 전기 신호를 받아 제어. Shared Control/Display Device에 설치
- FY: FIC-100의 출력 신호를 받아 작동. 이 신호는 패널에 설치된 전기 신호선으로, 시스템의 온도 제어를 자동화합니다.
5단계: TT-201 인터락 조건 설정
그림 1-6에서는 TT-201과 TAH-100(Temperature Alarm High)을 인터락 조건으로 설정합니다.
- TAH-100: 팬 온도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면 알람 발생
- 인터락 로직: TAH-100이 정상 상태이고, 모터 과부하가 없으면 모터가 동작하도록 설정. 이 조건은 모터 구동 로직과 연결되어 시스템 안정성을 높입니다.
CDU의 Forced Draft Fan P&ID 요약
그림 1-7은 CDU 내 Forced Draft Fan의 P&ID를 정리한 것입니다. 팬 배치, 프로세스 라인, 모터 인터락, 온도 제어 로직을 통해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Forced Draft Fan은 공기 공급을 통해 연소를 지원하며, CDU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더 배우고 싶다면
P&ID를 더 깊이 배우고 싶다면 아래 주제를 참고하세요. 실무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사례를 통해 실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 P&ID 해독: Tag Description and Location
- Symbol & Legend 배관라인 해설집
- Symbol & Legends 밸브 총 정리
- P&ID 해독하기: Kettle Reboiler
마무리하며
Forced Draft Fan의 P&ID 구성을 단계별로 살펴보면서, 장비와 제어 로직의 연결성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실무에서 P&ID를 활용하면 시스템 운영과 문제 해결이 훨씬 쉬워질 거예요. 꾸준히 연습하며 익숙해지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