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Ruby) 프로그래밍 언어를 윈도우 운영체제에 가장 쉽고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공식 Ruby Installer를 사용하여 32비트와 64비트 환경을 구분하고, 설치 시 필수 옵션 체크 방법 및 최종 실행 확인 과정까지 상세히 다룹니다.
루비 언어, 윈도우 환경에서 시작하기 위한 핵심 준비
루비(Ruby)는 일본의 마츠모토 유키히로가 개발한 순수 객체 지향 스크립트 언어로, 간결하고 우아한 문법 덕분에 개발자들 사이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웹 개발 프레임워크인 Ruby on Rails로 매우 유명합니다. 이 글은 루비를 윈도우 기반 컴퓨터에 설치하고 즉시 코딩을 시작할 수 있도록, 공식 배포 도구인 Ruby Installer를 활용한 최적의 설치 과정을 안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성공적인 개발 환경 구축을 위한 첫걸음이니, 아래의 단계를 천천히 따라오시길 바랍니다. 루비 설치는 생각보다 간단하며, 단 몇 분 만에 인터랙티브 환경을 만날 수 있습니다.
공식 Ruby Installer 다운로드: 32비트 vs 64비트 구분하기
1. Ruby Installer 공식 배포처 방문
루비를 윈도우 환경에 가장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Ruby Installer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인스톨러는 루비 개발 환경을 윈도우에 맞게 최적화해주는 패키지입니다.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는 아래 주소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루비 언어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및 소스 코드는 다음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운영체제(OS) 비트 확인 및 파일 선택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하면 여러 버전의 Ruby Installer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윈도우 운영체제가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 확인하고 적절한 파일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64비트(x64): 만약 자신의 운영체제가 64비트를 지원한다면 **'(x64)'**가 붙은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32비트: 32비트 운영체제라면 (x64) 표시가 없는 버전을 선택합니다.
💡 보충 설명: 윈도우 비트 확인 방법
운영체제의 비트 지원 여부는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메뉴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종류' 항목을 보시면 "64비트 운영 체제" 또는 "32비트 운영 체제"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최신 컴퓨터 대부분은 64비트를 지원하므로,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64비트 버전을 설치하는 것이 성능상 유리합니다.
Ruby Installer 설치 과정 및 필수 옵션 체크
3. 다운로드 및 설치 진행
다운로드 받은 RubyInstaller-xxx.exe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 설치 과정에서 나타나는 라이선스 동의(Accept License) 후에는 몇 가지 중요한 설치 옵션을 설정해야 합니다.
필자는 다음의 모든 옵션을 체크하고 진행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는 루비 환경을 구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경로 및 종속성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Add Ruby executables to your PATH: (필수)
이 옵션은 가장 중요합니다. 이 옵션을 체크하면 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CMD)나 PowerShell 등 어디서든 'ruby'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게 환경 변수(PATH)에 루비 실행 파일 경로를 자동으로 추가해줍니다.
Associate .rb and .rbw files with this Ruby Installation:
'.rb' 확장자를 가진 루비 스크립트 파일을 이 설치된 루비 버전과 연결하여, 파일을 더블클릭하는 것만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Install MSYS2 Development Toolset:
선택 사항이지만, 루비의 추가 기능(gem) 중 C 언어로 작성된 확장 모듈(native extension)을 설치할 때 필요한 개발 도구들을 함께 설치해줍니다. 루비 개발을 본격적으로 하려면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설치 완료 및 MSYS2 Toolset 설치 (선택)
위의 옵션들을 체크한 후 설치를 마치면, 'Install MSYS2 Development Toolset'을 체크한 경우 도구 설치를 위한 새로운 명령 프롬프트 창이 나타납니다. 화면의 안내에 따라 엔터(Enter)를 눌러 필요한 개발 도구들을 설치해줍니다. 이 과정은 루비 생태계의 다양한 외부 라이브러리(Gem)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최종 확인: Interactive Ruby(IRB) 실행하기
5. Interactive Ruby 실행 및 환경 확인
설치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마지막 단계는 **Interactive Ruby (IRB)**를 실행해보는 것입니다. IRB는 루비 코드를 한 줄씩 입력하고 즉시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대화형 환경입니다.
윈도우 검색: 윈도우 작업 표시줄의 검색 창(또는 Windows 키를 눌러)에 'Ruby' 또는 **'irb'**를 검색합니다.
검색 결과 목록에서 'Interactive Ruby' 또는 **'irb'**를 찾아 실행합니다.
아래와 같이 irb(main):001:0> 형태의 프롬프트가 나타나면 루비 실행 환경 구축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입니다.
irb(main):001:0>
이제 이 대화형 환경에서 간단한 루비 코드를 입력하며 루비 프로그래밍 학습을 시작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puts "Hello, Ruby!"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PATH 환경 변수 추가'를 깜빡 잊고 체크하지 못했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1. 설치를 다시 진행하거나, 직접 윈도우 환경 변수를 수정해야 합니다. 윈도우 설정에서 시스템 환경 변수를 열고, 'PATH' 변수에 루비 설치 폴더(예: C:\RubyXX-x64\bin)를 수동으로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환경 변수를 직접 수정하는 것은 초보자에게 복잡할 수 있으니, 가능하다면 설치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하여 옵션을 체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Q2. MSYS2 Toolset을 반드시 설치해야 하나요?
A2.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설치하는 것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루비 생태계에서 'Gem'이라고 불리는 라이브러리를 설치할 때, 일부 Gem은 C 언어 등 외부 언어로 작성된 확장 모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MSYS2 Toolset은 이러한 외부 모듈을 윈도우 환경에서 컴파일(Compile)하는 데 필요한 도구들을 제공합니다.
Q3. 32비트와 64비트 중 어떤 것을 설치해야 하나요?
A3. 자신의 윈도우 운영체제가 64비트라면 (x64)가 붙은 64비트 버전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성능상 유리합니다. 64비트 운영체제에서 32비트 루비를 설치할 수는 있지만, 메모리 사용량 등의 최적화 측면에서 64비트 버전을 권장합니다.
Q4. 설치 후 Interactive Ruby가 실행되지 않고 오류가 납니다.
A4. 대부분의 경우 'Add Ruby executables to your PATH' 옵션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았거나, 설치 파일이 손상된 경우입니다. 설치 폴더를 확인하고 환경 변수 PATH가 정확한지 검토하거나, 설치 파일을 다시 다운로드 받아 모든 옵션을 체크한 후 재설치하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책입니다.
Q5. 루비를 설치한 후 바로 'Ruby on Rails'를 시작할 수 있나요?
A5. 루비 설치는 'Ruby on Rails' 프레임워크를 설치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입니다. 루비 설치 후, 명령 프롬프트에서 gem install rails 명령을 추가로 실행하여 Rails 프레임워크를 설치해야 비로소 웹 개발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Disclaimer
본 튜토리얼은 루비(Ruby) 프로그래밍 언어를 윈도우 환경에 설치하는 과정을 안내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제시된 URL 및 설치 과정은 작성일 기준으로 최신 정보이나, 개발 환경과 프로그램 버전은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습니다. 설치 중 발생하는 모든 시스템 오류 및 문제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중요한 시스템 변경 전에는 항상 백업을 하시기를 권장합니다.
External Reference URLs
(Ruby Installer 공식 다운로드)http://rubyinstaller.org/downloads/ (루비 공식 웹사이트)http://www.ruby-lang.org/en/downloads/ (윈도우 환경 변수 설정 관련 마이크로소프트 문서)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



